윈도우 11 로컬 계정 설정 방법 완벽 가이드
목차
- 로컬 계정이란?
- 로컬 계정 설정 방법
- 설정 앱 이용
- 명령 프롬프트 이용
- 로컬 계정의 장단점
-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에서 로컬 계정으로 전환하는 방법
본문
1. 로컬 계정이란?
윈도우 11 로컬 계정은 마이크로소프트 계정과 연결되지 않은 독립적인 사용자 계정입니다. 인터넷 연결 없이도 윈도우를 사용할 수 있으며, 개인 정보 보호에 유리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.
2. 로컬 계정 설정 방법
설정 앱 이용
- 윈도우 설정 앱을 실행합니다. (단축키: 윈도우 키 + I)
- '계정' 메뉴를 선택합니다.
- '가족 및 다른 사용자'를 클릭합니다.
- '다른 사용자 추가' 버튼을 클릭합니다.
- '이 사람의 로그인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.'를 선택합니다.
- 'Microsoft 계정 없이 사용자 추가'를 클릭합니다.
- 사용자 이름과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'다음'을 클릭합니다.
- 보안 질문을 설정하고 '다음'을 클릭합니다.
- '마침'을 클릭하여 로컬 계정 생성을 완료합니다.
명령 프롬프트 이용
- 관리자 권한으로 명령 프롬프트를 실행합니다. (윈도우 키 + X -> 'Windows 터미널(관리자)' 선택)
- 다음 명령어를 입력하고 엔터 키를 누릅니다. (user_name은 원하는 사용자 이름으로, password는 원하는 비밀번호로 변경)
net user user_name password /add
- 다음 명령어를 입력하고 엔터 키를 눌러 관리자 권한을 부여합니다. (user_name은 생성한 사용자 이름으로 변경)
net localgroup administrators user_name /add
3. 로컬 계정의 장단점
장점
- 인터넷 연결 없이 윈도우 사용 가능
- 개인 정보 보호 강화
- 마이크로소프트 계정과의 연동 없이 독립적인 사용 환경 구축
단점
- 마이크로소프트 스토어, 원드라이브 등 마이크로소프트 서비스 이용 제한
- 여러 기기 간 설정 동기화 불가
4.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에서 로컬 계정으로 전환하는 방법
- 윈도우 설정 앱을 실행합니다. (단축키: 윈도우 키 + I)
- '계정' 메뉴를 선택합니다.
- '사용자 정보'를 클릭합니다.
- '로컬 계정으로 로그인'을 클릭합니다.
- 현재 마이크로소프트 계정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'다음'을 클릭합니다.
- 새로운 로컬 계정 사용자 이름, 비밀번호, 비밀번호 힌트를 입력하고 '다음'을 클릭합니다.
- '로그아웃 및 마침'을 클릭하여 로컬 계정으로 전환합니다.
더 자세한 참고자료는 아래를 참고하세요.
'Informati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윈도우11 작업표시줄 위치 변경 방법 완벽 가이드 (0) | 2025.03.04 |
---|---|
윈도우 11 설치 중 인터넷 연결 문제 해결 방법 완벽 가이드 (0) | 2025.03.03 |
윈도우11 그림판 완벽 활용 가이드: 초보부터 전문가까지! (0) | 2025.03.03 |
삼성 노트북 학생 할인 받는 방법 완벽 가이드 (2025 최신) (0) | 2025.03.02 |
노트북 무선 키보드 연결 완벽 가이드: 쉽고 빠르게 연결하세요! (0) | 2025.03.02 |